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12)
Jenkins로 spring-boot 프로젝트 빌드하기 3번째 OJT 과제였던 local 프로젝트를 젠킨스를 통하여 리눅스 서버로 build 하는 것을 해보았습니다. 👆 과정 1. Webhook으로 gitlab에 있는 프로젝트를 jenkins와 연동하기 2. 'new item' 을 눌러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. (in jenkins에서) 3. '구성' 메뉴를 눌러서 호스팅 서버와 연결하기 위한 설정들을 해줍니다. ✨중요 3-1 ) 소스코드 관리 3-2 ) 빌드 유발 3-3 ) 빌드 환경 Source files : 어떤 파일들을 옮길지 기입. target 디덱토리 밑에 모든 jar 파일들을 옮기겠다는 뜻 입니다. Remove prefix : 파일명만 따오기 위해 target이라고 써줍니다. Remote directory : ssh 서버..
리눅스 기본 명령어 ** 루트로 접속했을 때 or sudo로 루트 권한을 얻었을 경우 => # ** 일반 유저로 접속했을 경우 => $ ps : 실행중인 프로세스 확인 - PID : 프로세스 ID(번호) - STAT : 프로세스의 상태 (sleep, stopped, running) - COMMAND : 프로세스를 실행한 명령어 cd / : root로 이동 cd . : 현재 디렉토리 유지 cd .. :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~ : 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- :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 pwd : 현재 실행중인 directory 확인 ls : 현재 working directory에 있는 파일 목록들을 보여준다. ls -a : 숨김 파일들도 모두 보여줌 ls -l : 파일의 상세 정보 보여준다. ls -al : 숨김 + 상세..
Gitlab, Jenkins, Docker 작동 원리 1. Gitlab 저장소와 Jenkins 연동하기 - Webhook : 역방향 API라고도 불림, 서버가 클라이언트(Jenkins)에게 알려주기 때문. 2. Jenkins에서 Test를 한 다음 Docker 이미지를 제작한다. 3. 제작된 Docker 이미지를 메인 서버로 배포 다음에 계속..
개발자도구 팁 에러가 났거나 브레이크포인트를 걸어 데이터의 상태를 확인할 때 --> 개발자도구 --> Source -> 원하는 지점에 break Point (해당 줄에 클릭하면 됨) --> 콘솔 창에 변수 입력 --> 입력한 변수에 다른 값 넣어보기 이렇게 하면 break Point가 걸린 이후의 과정들은 내가 임의로 넣어본 값으로 돌아가게 됨!